줄어들 수 있었다는 것이다.

   곰두리상담실   >  활동지원사고충처리함

활동지원사고충처리함

줄어들 수 있었다는 것이다.

test 0 13 2024.12.31 01:16

로컬라이저(착륙 유도 안전시설)가 설치된 곳인데, 이 둔덕이 없었다면 인명 피해가 줄어들 수 있었다는 것이다.


공군 출신 항공 전문가 데이비드 리어마운트는 “비행기가 활주로를 이탈했을 때 크게 손상을 입지 않도록 쉽게 부러지거나 접히는 형태로 두는 게 보통”이라고 주장했다.


주종완 국토부 항공정책실장은 “무안공항은 활주로 종단 안전구역 외곽의 활주로 끝단에서 약 251m 거리에 방위각 시설(로컬라이저)이 설치돼 있다”며 “여수공항과 청주공항 등에도 콘크리트 구조물 형태로 방위각 시설이 있다”고 설명했다.


방위각 시설은 공항의 활주로 진입을 돕는 역할을 하는 일종의.


이는 야간이나 시야가 좋지 않을 때 조종사가 착륙할 수 있도록 돕는 계기 착륙 시스템(ILS)의 일부로로컬라이저(Localizer)라고 불린다.


활주로 끝에서 전파를 보내 항공기가 활주로 중심선에 맞춰 착륙과 주행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.


다만 일반적으로로컬라이저는 철골 구조물로 설치한다.


당시 탑승 81명 중 경상만 27명 무안과 달리 돌출 구조물 없어 지난 29일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기 사고의 원인 중 하나로 부적절하게 설치된로컬라이저(착륙 유도 시설) 구조물이 지목되면서 2015년 4월 일본 히로시마공항 아시아나항공 충돌 사고가 조명되고 있다.


두 사고 모두 항공기가 활주로를.


착륙 유도 시설인 ‘로컬라이저’ 무안공항 활주로 끝 지면 낮아 평형 높이 유지하려 구조물 쌓아 규정엔 ‘부러지기 쉽게 만들어야’ 지난 29일 179명이 사망한 ‘제주항공 참사’의 피해를 키운 원인으로 무안공항 활주로 주변에 있던 착륙 유도 장치(로컬라이저)의 콘크리트 구조물이 지목되고 있다.


동체 착륙을 한 사고 여객기는 활주로 끝의로컬라이저구조물에 충돌하면서 폭발했다.


로컬라이저는 조종사의 항공기 착륙을 돕는 설비로, 활주로 중심선에 맞추도록 수평 방향 정보를 제공한다.


만약의 경우 비행기가 활주로를 지나쳐도 충격이 없도록 그 경우 부러지도록 설계된다.


사고 여객기는 동체 착륙을 하다 활주로 끝단로컬라이저(착륙 유도 안전시설)의 콘크리트 둔덕에 부딪혔다.


만일을 대비해 비행기가 쉽게 뚫고 지나갈 수 있는 구조로 설치하는 게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지침이다.


항공안전 전문가 데이비드 리어마운트는 영국 스카이뉴스 인터뷰에서 “그 위치에 둔덕이.


사고 여객기는 활주로 3분의 1 지점에 동체착륙을 시도했지만 짧은 활주로 때문에 콘크리트 구조물(로컬라이저)인 둔덕에 부딪혀 참사가 빚어졌다.


더구나 활주로 확장공사 탓에 실제 활주로는 300m가 줄어든 상태였다.


둔덕이 피해를 키웠다는 주장에도 귀 기울여야 한다.


공항 측이 지난해로컬라이저교체.


랜딩기어(착륙 시 사용하는 바퀴) 없이 동체착륙을 시도하던 여객기는 19활주로 1200m 되는 지점에 내렸고, 오전 9시3분 활주로를 지나 활주로 끝 착륙 유도 안전시설인 '로컬라이저'에 충돌한 뒤 다시 외벽에 부딪쳤다.


충돌 직후 탑승자들은 기체 밖으로 쏟아졌고 여객기는 불길에 휩싸였다.


첫 번째 의문점, '로컬라이저둔덕'입니다.


여객기가 1차 충돌한 구조물인데 교수님께서도 이게 사고를 키웠다고 보십니까? 그리고 규정위반이라고 판단하십니까? [앵커] 두 번째 의문점은 '동체착륙 후 왜 감속 못했나?'입니다.


제동장치는 렌딩기어 외에도 몇가지가 더 있는데 모두 작동하지 않았습니다.


오산 힐스테이트